KODEX인버스 해보신적 있으신가요? KODEX인버스는 ETF입니다. 즉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 펀드로서 펀드 자체를 거래소에 상장을 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이지요. 우리나라 ETF 의 대표 상품은 KODEX와 TIGER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중에서 KODEX가 많이 우위에 있는것 같아요.

ETF는 각각의 펀드가 타겟으로 삼고 있는 지수가 그대로 펀드의 실적에 반영이 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소외가 되는 일이 적습니다. 즉, 특정 종목의 리스크를 안고 가는 일이 적어진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그만큼의 수익률은 낮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특징 때문에 자연스럽게 분산투자를 하게 되는 것이 장점이지요.
KODEX의 펀드 중에서 가장 특별한 펀드는 바로 KODEX 인버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른 모든 ETF는 시장이 상승하여야 수익이 나는 구조지만 KODEX 인버스는 시장이 하락을 해야 수익이 나는 헷지형 펀드이기 떄문입니다. KODEX 인버스가 추종하는 지수는 F-KOSPI200(KOSPI200 주가지수 선물지수)의 역입니다.
코덱스 인버스도 나름 펀드이기 때문에 운영비가 들어갑니다. 연간 0.640% 수준이지요. 이는 다른 펀드가 2% 수준인것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보입니다.
예전에는 지수를 역으로 추종하는 펀드는 KODEX 인버스 밖에 없었는데 레버리지형도 나왔고 다양한것 같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아무리 담이 크더라도 레버리지형 인버스는 쉽게 들어가지 못할것 같아요.